 흥왕사명 청동은입사 용봉문 향완(국보 제214호 재현)몸체에 있는 4개의 윤곽선 안에 용과 봉황을 새겨 넣었다. 나머지 여백에는 초화문, 수금문을 새기고, 굽다리에는 당초문을 새겨 넣었다.
형태와 문양도 아름답지만 충렬왕 15년(1289년)에 개성 흥왕사에서 만들어졌음을 나타내는 명문이 굽도리에 은입사되어, 역사적 가치를 더욱 높여 준다.
박근혜 대통령 인도순방 때 전시되었던 작품.
크기 340x340x380mm |  청동제 은입사 향완(보물 제 288호 재현)불단에서 향을 피우는데 사용한 고려시대 향로이다. 아랫부분에 굵고 가는 은입사로 용무늬를 생동감 있게 돌리고 그 위의 몸체에 활작 핀 연꽃을 올려 장식하였다. 명문에는 비슬산 소재사 지장전의 향완이며 주상전하, 공주전하, 왕후전하의 무병장수와 태평성대를 바란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크기 290x290x285mm |  청동 은입사 보상당초 봉황문합(국보 제171호 재현)11~12세기 경 고려시대 작품으로 임금을 상징하는 봉황을 상부 중앙에 은입사 하였다.
봉황의 주위는 보상당초와 당초 문양을 둘렀다. 보상당초와 당초는 재물을 빌고 모든 일이 잘 풀리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크기 220x220x120m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