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은제 죽문 금입사 주발세트.jpg

은제 죽문 금입사 주발세트.jpg

은제 죽문 금입사 주발세트_detail.jpg

은제 죽문 금입사 주발세트_detail.jpg

봉황문 은입사 방짜유기

봉황문 은입사 방짜유기

방짜유기장 무형문화재 김문익 선생의 작품에 임금을 상징하는 봉황을 은입사한 작품이다. 수저에는 장수를 상징하는 한자를 새겨넣었다. 크기 합1: 130x130x80mm 합2: 110x110x80mm

봉황문 은입사 방짜유기_detail

봉황문 은입사 방짜유기_detail

방짜유기장 무형문화재 김문익 선생의 작품에 임금을 상징하는 봉황을 은입사한 작품이다. 수저에는 장수를 상징하는 한자를 새겨넣었다. 크기 합1: 130x130x80mm 합2: 110x110x80mm

은제 국화문 돋을새김 구절판

은제 국화문 돋을새김 구절판

본체와 뚜껑에 문양의 이어짐을 고려하여 설계한 고급기술이 돋보인다. 부금기법을 이용하여 국화의 꽃술을 강조하였다. 국화는 장수의 상징이며 절개와 지조를 상징한다. 크기 235x235x105mm

은제 국화문 돋을새김 구절판_detail

은제 국화문 돋을새김 구절판_detail

본체와 뚜껑에 문양의 이어짐을 고려하여 설계한 고급기술이 돋보인다. 부금기법을 이용하여 국화의 꽃술을 강조하였다. 국화는 장수의 상징이며 절개와 지조를 상징한다. 크기 235x235x105mm

은제 모란문 돋을새김 구절판

은제 모란문 돋을새김 구절판

본체와 뚜껑에 문양의 이어짐을 고려하여 설계한 고급기술이 돋보인다. 부금기법을 이용하여 모란의 꽃술을 강조하였다. 모란은 화목한 가정을 상징한다. 크기 260x260x105mm

은제 모란문 돋을새김 구절판_detail

은제 모란문 돋을새김 구절판_detail

본체와 뚜껑에 문양의 이어짐을 고려하여 설계한 고급기술이 돋보인다. 부금기법을 이용하여 모란의 꽃술을 강조하였다. 모란은 화목한 가정을 상징한다. 크기 260x260x105mm

봉황문 은입사 칠기 구절판

봉황문 은입사 칠기 구절판

옻칠이 된 삼베 위 동판에 임금을 상징하는 봉황을 은입사하였다. 내부의 옻칠된 목재와 더불어 오묘한 색의 조화를 이룬다. 새겨 품격을 더했다. 구절판 내부를 옻칠하여 색의 조화를 이뤘다. 크기 290x290x85mm

봉황문 은입사 칠기 구절판_deetail

봉황문 은입사 칠기 구절판_deetail

옻칠이 된 삼베 위 동판에 임금을 상징하는 봉황을 은입사하였다. 내부의 옻칠된 목재와 더불어 오묘한 색의 조화를 이룬다. 새겨 품격을 더했다. 구절판 내부를 옻칠하여 색의 조화를 이뤘다. 크기 290x290x85mm

은제 연화당초문 부금 과기

은제 연화당초문 부금 과기

과일을 담는 그릇이다. 본체는 부금기법과 금입사 방식을 사용하여 장식했다. 덮개 손잡이는 금, 청금석, 자마노로 본체 손잡이는 비취석으로 장식하여 화려함을 더했다. 크기 206x206x120mm

동제 용문 은입사 보석함

동제 용문 은입사 보석함

동제 보석함에 용을 형상화한 문양을 은입사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비취석과 은이 사용된 자물쇠·경첩은 전통적 개폐방식으로 제작되었다. 크기 180x120x70mm

규방 세트

규방 세트

꾸민 족두리&떨잠&죽잠&영락잠&뒤꽂이 일습&칠보 박쥐 쌍가락지&은제 십장생 말굴레 쌍가락지&은제 연화등 삼작노리개 꾸민족두리: 110x110x130mm 죽잠: 240mm 영락잠: 460mm 떨잠: 110mm 노리개(은제 연화등 삼작노리개) : 400mm 뒤꽂이 일습: 60~75mm

규방 세트

규방 세트

은제 칠보 티스푼&칠보 박쥐 쌍가락지&십장생 말굴레 금부 쌍가락지

은제 장도류

은제 장도류

은제 고려도 165mm 금입사 첨사도 150mm 편복문 첨사도 150mm 당초문 을자도 125mm

은제 화조문 돋을새김 고려도

은제 화조문 돋을새김 고려도

은이 주 재료이며, 화조문을 부금기법을 사용하여 장식하였다. 화조문에 등장하는 한 쌍의 새의 모습은 금실 좋은 부부를 상징한다. 크기 245m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