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추사 세한도 발문 은입사도

추사 세한도 발문 은입사도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 국보 제180호)의 발문(跋文)을 동판에 은입사하여 표현

은입사 윤도

은입사 윤도

윤도는 풍수가나 지관이 방위를 결정할 때 필수로 사용한 기구로써, 태극을 중심으로 음양·오행·팔괘·십간·십이지와 24절기가 조합되어있다. 이는 우리 고유의 사상으로서 고구려 벽화등에 잘 나타나 있다. 본 재현품은 후천위 문왕 팔괘도(윤도)를 곽홍찬 장인이 동판에 은입사하여 제작하였으며, 본 작품에 들어간 글자 수 는 약 4,600자인데, 작업실에서 하루종일 10자 정도 작업하여 제작에 꼬박 1년 이상이 걸리는 시간을 녹이는 싸움이었다고 장인은 표현한다. 크기 800x900mm

은입사 천상열차분야지도

은입사 천상열차분야지도

본 작품은 조선시대 때 석판으로 제작된 천문도를 따라 동판에 은입사한 작품이다. 이 석판은 훨씬 이전인 고구려 때의 천문도를 기본으로 제작된 작품으로 알려져있다. 이 천문도에는 하늘의 모습을 본뜬 76cm 지름의 큰 원 안에 사계절 동안 관측되는 1,467개의 별이 모두 새겨져 있다. 원의 바깥 부분에는 365개의 눈금이 찍혀있고, 태어난 띠를 상징하는 12간지도 표기되어 있다. 2007년부터 발행된 만원권 뒷면에서도 약식으로 모사된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볼 수 있다. 원 제작시기인 조선시대 초 작품은 흑요석에 석각되어 있는 형태인데, 곽홍찬 장인이 2년 여에 걸쳐 한땀한땀 은실로 새겨넣어 보관의 항구성과 화려함을 더하였다. 크기 800x900mm

은입사 화중군자도

은입사 화중군자도

화중군자도는 꽃중의 군자라는 말로 연꽃을 뜻한다. 연꽃을 은입사하여 표현하였다. 크기 990x490mm

은입사 십장생도

은입사 십장생도

십장생도는 태양, 산, 물,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 등을 소재로한 그림이다. 주로 상류층이 오래살기를 기원하며 만들었다고 한다. 크기 780x580mm

은입사 풍악내산총람도

은입사 풍악내산총람도

풍악내산총람도는 겸재가 64세에 그린 작품을 은입사로 표현한 작품이다. 겸재특유의 예각수직선묘법인 상악준법과 가을의 내극강 전경을 담아낸 원작의 느낌을 잘 담았다. 크기 860x615mm

은입사 설응도

은입사 설응도

크기 600x340mm

은입사 모란도

은입사 모란도

모란도는 모란을 은입사한 작품이다. 모란꽃이 화려하고 풍염하여 위엄과 품위를 갖춘 꽃이다. 모란의 화려한 기운이 집안에 깃들라는 의미로 모란장식을 많이 사용했다. 크기 340x900m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