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흥왕사명 청동은입사 용봉문 향완(국보 제214호 재현)몸체에 있는 4개의 윤곽선 안에 용과 봉황을 새겨 넣었다. 나머지 여백에는 초화문, 수금문을 새기고, 굽다리에는 당초문을 새겨 넣었다. 형태와 문양도 아름답지만 충렬왕 15년(1289년)에 개성 흥왕사에서 만들어졌음을 나타내는 명문이 굽도리에 은입사되어, 역사적 가치를 더욱 높여 준다. 박근혜 대통령 인도순방 때 전시되었던 작품. 크기 340x340x380mm | ![]() 청동제 은입사 향완(보물 제 288호 재현)불단에서 향을 피우는데 사용한 고려시대 향로이다. 아랫부분에 굵고 가는 은입사로 용무늬를 생동감 있게 돌리고 그 위의 몸체에 활작 핀 연꽃을 올려 장식하였다. 명문에는 비슬산 소재사 지장전의 향완이며 주상전하, 공주전하, 왕후전하의 무병장수와 태평성대를 바란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크기 290x290x285mm | ![]() 청동 은입사 보상당초 봉황문합(국보 제171호 재현)11~12세기 경 고려시대 작품으로 임금을 상징하는 봉황을 상부 중앙에 은입사 하였다. 봉황의 주위는 보상당초와 당초 문양을 둘렀다. 보상당초와 당초는 재물을 빌고 모든 일이 잘 풀리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크기 220x220x120mm |
---|---|---|
![]() 청동 은입사 보상당초 봉황문합(국보 제171호 재현)_detail11~12세기 경 고려시대 작품으로 임금을 상징하는 봉황을 상부 중앙에 은입사 하였다. 봉황의 주위는 보상당초와 당초 문양을 둘렀다. 보상당초와 당초는 재물을 빌고 모든 일이 잘 풀리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크기 220x220x120mm | ![]() 청동 은입사 인동당초 용문합황제를 상징하는 용을 상부 중앙에 은입사 하였다. 용의 주위는 인동당초와 당초 문양을 둘렀다. 인동당초와 당초는 재물을 빌고 모든 일이 잘 풀리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크기 220x220x120mm | ![]() 청동 은입사 인동당초 용문합_detail황제를 상징하는 용을 상부 중앙에 은입사 하였다. 용의 주위는 인동당초와 당초 문양을 둘렀다. 인동당초와 당초는 재물을 빌고 모든 일이 잘 풀리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크기 220x220x120mm |
![]() 청동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국보 제92호 재현)고려시대 승려가 사용한 물병이다. 배를 탄 낚시꾼이 버드나무가 있는 물가에서 한가로이 노니는 모습을 은입사로 표현하였다. 크기 높이:290mm | ![]() 은제 연화당초문 부금 다기부처님에게 차를 바치는 용도의 다기이다. 손잡이의 연꽃과 본체의 덩굴문양이 주홍빛 자마노와 함께 불교적 이상향을 표현하였다. 크기 140x140x210mm | ![]() 은제도금 타출 조문 표형병도금된 표주박형의 병에 섬세한 문양을 타출기법으로 빼곡히 체워 넣었다. 좌우대칭의 균제미와 율동감이 잘 표현되었다. 독특한 기법이 사용되어 누금기법과 같은 입체감이 나타난다. 크기 77x77x170mm |
![]() 은제 초화문 돋을새김 잔탁고려시대에 사용된 찻잔과 그 받침대를 재현하였다. 은에 도금을 한 다음, 꽃과 잎의 문양을 돋을 새김하여 마무리하였다. 초화문이라고 하는 이 문양은 보는 사람에게 편안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크기 160x160x121mm | ![]() 은제 아미타여래불상(국보 제79호 재현)은에 도금한 소형 불상이다. 아미타여래불은 극락세계에서 설법을 하는 부처로 정토교에서 숭앙하는 구제불이다. 크기 높이:135mm | ![]() 보스턴 주전자 (은제 초화문 고려주자,보스턴박물관 소장품 재현)현재 보스턴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어 일명 보스턴 주전자라고 불리는 은제 초화문 고려주자. 상부는 봉황으로 조각되어 있고 그 아래 2단의 연꽃은 고부조 육각으로 타출하였다. 손잡이와 수구 부분은 대나무의 마디와 잎을 형상화 하였다. 몸통부분은 골을 만든 후 초화문을 조이조각으로 화려하게 시문했고 부금방식으로 문양을 장식하였다. 크기 180x180x370mm |
![]() 은제 국화문 금입사 다기 | ![]() 은제 모란문 금입사 다기 | ![]() 은제 연화문 금입사 다기 |
![]() 은제 십장생문 금입사 다기 | ![]() 은제 죽문 칠기 다기은제 다기 세트이다. 차의 열을 방지하기 위해 찻잔 몸체, 차통 뚜껑 및 주전자 손잡이를 옻칠한 흑단목재로 제작하였다. 주전자 뚜껑 손잡이는 자마노로 포인트를 주었다. 주전자와 차통에는 건강을 염원하는 천도와 대나무를 타출하였다. 크기 주전자: 85x85x85mm 잔: 80x80x50mm 차통 : 65x65x135mm | ![]() 은제 죽문 칠기 다기_detail은제 다기 세트이다. 차의 열을 방지하기 위해 찻잔 몸체, 차통 뚜껑 및 주전자 손잡이를 옻칠한 흑단목재로 제작하였다. 주전자 뚜껑 손잡이는 자마노로 포인트를 주었다. 주전자와 차통에는 건강을 염원하는 천도와 대나무를 타출하였다. 크기 주전자: 85x85x85mm 잔: 80x80x50mm 차통 : 65x65x135mm |
![]() 은제 금입사 포류수금문 주자주전자 몸체에 물가의 버드나무와 새들의 풍경을 금입사 방식으로 새겼다. 수구와 뚜껑 손잡이에 사용된 흑색의 오닉스는 이 작품의 특징이다. 크기 주전자: 110x110x120mm 잔: 65x65x48mm | ![]() 은제 금입사 포류수금문 주자_detail주전자 몸체에 물가의 버드나무와 새들의 풍경을 금입사 방식으로 새겼다. 수구와 뚜껑 손잡이에 사용된 흑색의 오닉스는 이 작품의 특징이다. 크기 주전자: 110x110x120mm 잔: 65x65x48mm | ![]() 은제 죽문 금입사 다기주전자, 차통, 차시, 접시, 찻잔 5개로 이루어진 은제 다기세트이다. 건강을 상징하는 대나무와 천도가 금입사 되었다. 크기 주전자: 85x85x85mm 잔: 80x80x50mm 차통 : 65x65x135mm |
![]() 은제 운문금입사 팔각 주자황제를 상징하는 용 모양의 술병이다. 뚜껑에는 봉황을 올리고 손잡이는 옥으로 장식했다. 술잔의 내부는 도금처리 하였다. 술잔에 새겨진 쌍학은 곽씨공방의 상징이다. | ![]() 봉황문 은입사 방짜유기방짜유기장 무형문화재 김문익 선생의 작품에 임금을 상징하는 봉황을 은입사한 작품이다. 수저에는 장수를 상징하는 한자를 새겨넣었다. 크기 합1: 130x130x80mm 합2: 110x110x80mm | ![]() 봉황문 은입사 방짜유기_detail방짜유기장 무형문화재 김문익 선생의 작품에 임금을 상징하는 봉황을 은입사한 작품이다. 수저에는 장수를 상징하는 한자를 새겨넣었다. 크기 합1: 130x130x80mm 합2: 110x110x80mm |
![]() 은제 죽문 금입사 주발세트다복과 장수의 뜻을 금입사로 표현하였다. 옻칠된 케이스에 대나무를 형상화한 수저 받침을 함께 담았다. | ![]() 은제 죽문 금입사 주발세트_detail다복과 장수의 뜻을 금입사로 표현하였다. 옻칠된 케이스에 대나무를 형상화한 수저 받침을 함께 담았다. | ![]() 은제 국화문 돋을새김 구절판본체와 뚜껑에 문양의 이어짐을 고려하여 설계한 고급기술이 돋보인다. 부금기법을 이용하여 국화의 꽃술을 강조하였다. 국화는 장수의 상징이며 절개와 지조를 상징한다. 크기 235x235x105mm |
![]() 은제 국화문 돋을새김 구절판_detail본체와 뚜껑에 문양의 이어짐을 고려하여 설계한 고급기술이 돋보인다. 부금기법을 이용하여 국화의 꽃술을 강조하였다. 국화는 장수의 상징이며 절개와 지조를 상징한다. 크기 235x235x105mm | ![]() 은제 모란문 돋을새김 구절판본체와 뚜껑에 문양의 이어짐을 고려하여 설계한 고급기술이 돋보인다. 부금기법을 이용하여 모란의 꽃술을 강조하였다. 모란은 화목한 가정을 상징한다. 크기 260x260x105mm | ![]() 은제 모란문 돋을새김 구절판_detail본체와 뚜껑에 문양의 이어짐을 고려하여 설계한 고급기술이 돋보인다. 부금기법을 이용하여 모란의 꽃술을 강조하였다. 모란은 화목한 가정을 상징한다. 크기 260x260x105mm |
![]() 봉황문 은입사 칠기 구절판옻칠이 된 삼베 위 동판에 임금을 상징하는 봉황을 은입사하였다. 내부의 옻칠된 목재와 더불어 오묘한 색의 조화를 이룬다. 새겨 품격을 더했다. 구절판 내부를 옻칠하여 색의 조화를 이뤘다. 크기 290x290x85mm | ![]() 봉황문 은입사 칠기 구절판_deetail옻칠이 된 삼베 위 동판에 임금을 상징하는 봉황을 은입사하였다. 내부의 옻칠된 목재와 더불어 오묘한 색의 조화를 이룬다. 새겨 품격을 더했다. 구절판 내부를 옻칠하여 색의 조화를 이뤘다. 크기 290x290x85mm | ![]() 은제 연화당초문 부금 과기과일을 담는 그릇이다. 본체는 부금기법과 금입사 방식을 사용하여 장식했다. 덮개 손잡이는 금, 청금석, 자마노로 본체 손잡이는 비취석으로 장식하여 화려함을 더했다. 크기 206x206x120mm |
![]() 은제 보상당초문 돋을새김 잔내부를 도금한 은제 잔이다. 외부는 연꽃과 모란을 결합한 보상당초문을 돋을새김 하여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크기 55x55x32mm | ![]() 은제 천도문 팔각 차통몸체에 불로장생을 상징하는 천도문이 부금기법으로 장식되었다. 차통 내부 뚜껑의 대나무 역시 영생과 불변을 상징하여 차 마시는 이의 건강을 기원한다. 크기 80x80x150mm | ![]() 은제 천도문 팔각 차통_detail몸체에 불로장생을 상징하는 천도문이 부금기법으로 장식되었다. 차통 내부 뚜껑의 대나무 역시 영생과 불변을 상징하여 차 마시는 이의 건강을 기원한다. 크기 80x80x150mm |
![]() 동제 용문 은입사 보석함동제 보석함에 용을 형상화한 문양을 은입사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비취석과 은이 사용된 자물쇠·경첩은 전통적 개폐방식으로 제작되었다. 크기 180x120x70mm | ![]() 규방 세트꾸민 족두리&떨잠&죽잠&영락잠&뒤꽂이 일습&칠보 박쥐 쌍가락지&은제 십장생 말굴레 쌍가락지&은제 연화등 삼작노리개 꾸민족두리: 110x110x130mm 죽잠: 240mm 영락잠: 460mm 떨잠: 110mm 노리개(은제 연화등 삼작노리개) : 400mm 뒤꽂이 일습: 60~75mm | ![]() 규방 세트은제 칠보 티스푼&칠보 박쥐 쌍가락지&십장생 말굴레 금부 쌍가락지 |
![]() 은제 장도류은제 고려도 165mm 금입사 첨사도 150mm 편복문 첨사도 150mm 당초문 을자도 125mm | ![]() 은제 화조문 돋을새김 고려도은이 주 재료이며, 화조문을 부금기법을 사용하여 장식하였다. 화조문에 등장하는 한 쌍의 새의 모습은 금실 좋은 부부를 상징한다. 크기 245mm | ![]() 추사 세한도 발문 은입사도 |
![]() 은입사 윤도윤도는 풍수가나 지관이 방위를 결정할 때 필수로 사용한 기구로써, 태극을 중심으로 음양·오행·팔괘·십간·십이지와 24절기가 조합되어있다. 이는 우리 고유의 사상으로서 고구려 벽화등에 잘 나타나 있다. 본 재현품은 후천위 문왕 팔괘도(윤도)를 곽홍찬 장인이 동판에 은입사하여 제작하였으며, 본 작품에 들어간 글자 수 는 약 4,600자인데, 작업실에서 하루종일 10자 정도 작업하여 제작에 꼬박 1년 이상이 걸리는 시간을 녹이는 싸움이었다고 장인은 표현한다. 크기 800x900mm | ![]() 은입사 천상열차분야지도본 작품은 조선시대 때 석판으로 제작된 천문도를 따라 동판에 은입사한 작품이다. 이 석판은 훨씬 이전인 고구려 때의 천문도를 기본으로 제작된 작품으로 알려져있다. 이 천문도에는 하늘의 모습을 본뜬 76cm 지름의 큰 원 안에 사계절 동안 관측되는 1,467개의 별이 모두 새겨져 있다. 원의 바깥 부분에는 365개의 눈금이 찍혀있고, 태어난 띠를 상징하는 12간지도 표기되어 있다. 2007년부터 발행된 만원권 뒷면에서도 약식으로 모사된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볼 수 있다. 원 제작시기인 조선시대 초 작품은 흑요석에 석각되어 있는 형태인데, 곽홍찬 장인이 2년 여에 걸쳐 한땀한땀 은실로 새겨넣어 보관의 항구성과 화려함을 더하였다. 크기 800x900mm | ![]() 은입사 풍악내산총람도풍악내산총람도는 겸재가 64세에 그린 작품을 은입사로 표현한 작품이다. 겸재특유의 예각수직선묘법인 상악준법과 가을의 내극강 전경을 담아낸 원작의 느낌을 잘 담았다. 크기 860x615mm |
![]() 은입사 설응도크기 600x340mm | ![]() 은입사 십장생도십장생도는 태양, 산, 물,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 등을 소재로한 그림이다. 주로 상류층이 오래살기를 기원하며 만들었다고 한다. 크기 780x580mm | ![]() 은입사 모란도모란도는 모란을 은입사한 작품이다. 모란꽃이 화려하고 풍염하여 위엄과 품위를 갖춘 꽃이다. 모란의 화려한 기운이 집안에 깃들라는 의미로 모란장식을 많이 사용했다. 크기 340x900mm |
![]() 은입사 화중군자도화중군자도는 꽃중의 군자라는 말로 연꽃을 뜻한다. 연꽃을 은입사하여 표현하였다. 크기 990x490mm |
bottom of page